두산로보틱스의 Manufacturing & Operation 팀은 단기 목표뿐 아니라 장기적인 생산 계획을 세워 달성해 나가는 팀입니다. 그래서 김용수 수석님은 자신의 역할을 ‘마라톤’에 비유하고 있는데요.
커뮤니케이션 스킬은 물론,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제조 공정의 모든 단계를 아우르며,
두산로보틱스가 한층 성장할 수 있도록 팀을 이끌고 있는 용수 수석님의 이야기, 지금부터 함께 들어보시죠!
Q.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.
안녕하세요. Manufacturing & Operation 팀에서 생산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김용수 수석입니다. 어린 시절부터 달리기를 좋아했고 현재도 마라톤을 취미로 삼고 있습니다. 마라톤을 완주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체력 안배와 전략이 중요합니다. 생산관리의 업무도 그러한 것 같습니다.
단기 목표도 있지만 장기간 생산계획 및 생산지표를 달성하기 위해 많은 생각들을 하고 계획을 세우며 전략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. 그래서 현재도 생산관리 업무를 계속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.
Q. 현재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담당하고 계신가요?
이 팀에서는 우리가 만드는 제품의 생산 계획을 수립하고 실적을 마감하고 정리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. 영업에서의 판매 계획을 기반으로 제품을 만드는 계획을 세우고, 일, 주, 월별 계획을 수립/조정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
또, 과정상에 발생될 수 있는 변수에 대해서 영업, 품질, 구매, 연구소 등 많은 부서들과 함께 조율하는 업무도 함께 수행하고 있습니다.
Q. 현재 맡고 있는 직무를 선택하게 된 이유나 계기가 궁금합니다.
고교 시절 은사님께서 "건설 시공관리자처럼 다양한 사람들과 어울리는 일이 맞을 것 같다"라는 조언을 해주신 적이 있습니다. 여러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는 성격이라 생산관리 직무와 잘 맞았고, 현 직무를 선택한 부분에 대해서 잘 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
Q. 직무를 수행하면서 갖는 강점은 무엇인가요?
팀내에는 기술직분들과 협업을 많이 하고 있고, 팀 외적으로는 각 담당자들과 협업으로 성과를 도출하다보니 "커뮤니케이션 스킬"이 좋아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 그리고, 제조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부서이기 때문에 제조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.
Q. 직무를 수행할 때 가장 중요하게 요구되는 역량이나 자질이 있다면 무엇일까요?
유연한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과 커뮤니케이션 스킬이 중요한 자질이라고 생각합니다. 정해진 틀을 깨고 발랄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역량이 있다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. 업무 중에 계획대로 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대안을 찾고 상호 의견을 나누는 것에 두려움이 없어야 합니다.
Q. 해당 직무를 갖기 위해 준비해야 할 사항은 무엇일까요?
제품을 만드는 제조 공정은 제조업의 꽃입니다. 그렇기 때문에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도가 있었으면 합니다. 그리고, 제조 시 발생되는 많은 데이터들이 있습니다. 본 데이터를 조회하고 분석하는 능력도 미리 갖추고 있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. 마지막으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마인드는 앞서 말씀드린 것들보다 가장 우선적으로 갖추어야 될 사항이라고 생각합니다.
Q. 업무를 하시면서 이루고 싶은 향후 계획이나 꿈이 있으신가요?
두산로보틱스는 앞으로 더 많이 성장할 것입니다. 그러려면 더 많은 생산 capability(역량)를 확보해야 합니다. 더 많은 제조 정보와 데이터들이 쏟아질 테니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하겠죠. 생산관리 전문가로 성장하면서 이러한 정보 및 데이터를 기반으로 Ai,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선진형 생산관리 프로세스를 수립하고 싶습니다.
Q. 팀 분위기는 어떤가요?
긍정적인 분위기에 배려심 많은 분들이 있어서 신입 또는 경력직원 분들이 입사하셔도 쉽게 적응하실 수 있습니다. 책임감 있는 모습으로 팀 업무를 수행하신다면 더 빨리 우리 팀에 녹아들지 않을까 합니다.
Q. 마지막으로 해당 직무를 고민하고 있는 미래의 후배들에게 해 주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한 말씀 해주세요.
로봇을 좋아하시고 사람과 어울리는 성격을 소유하신 분들이라면 두산로보틱스 생산관리 파트에서 잘 적응하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 생산관리로 딥 다이브 하실 수도 있지만, 향후 SCM, S&OP, 시스템 구축 및 PI 담당자로도 영혁을 넓힐 수 있는 커리어 패스들이 존재합니다. 다양한 경험을 원하시는 분들께 생산관리 직무를 추천드립니다.
💡
긴 호흡으로 계획을 세우고, 유연하게 대안을 찾아가는 일.
사람과 프로세스를 잇는 생산관리의 길 위에서,
당신의 다음 커리어를 두산로보틱스에서 시작해보세요.